티스토리 뷰
목차
지금의 청년들에게 가장 절실한 키워드 중 하나는 ‘자산’입니다.
학자금 대출, 취업 준비, 전월세 보증금까지 이어지는 경제적 부담 속에서 청년이 스스로 자산을 형성하기란 쉽지 않죠.
하지만 2025년부터 정부는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맞춤형 계좌 제도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적은 금액으로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이 정책들, 지금 확인해보세요.
💰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이하 청년 중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소득 250% 이하인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가 월 최대 3만 3,000원의 기여금을 더해주고,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주어집니다.
해당 계좌는 협약된 시중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쉽게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이 6,00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
병역의무 이행기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군필자도 불이익 없이 참여 가능합니다.
🪖 장병내일준비적금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을 위한 전용 적금 제도입니다.
본인이 매달 최대 55만 원을 적립하면, 전역 시 은행 이자(5% 비과세)와 함께
국가가 원금의 100%를 매칭하여 지급합니다.
적금 가입은 ‘나라사랑포털’이나 ‘병무지갑 앱’ 등을 통해 ‘가입 자격 확인서’를 발급받은 뒤,
14개 지정 은행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전역 후 바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든든한 제도이자, 사회복귀를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합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이 제도는 특히 저소득 청년층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가입 당시 만 19~34세, 근로·사업소득 월 50만 원 이상 250만 원 이하, 가구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청년이 매월 10만 원 이상을 저축하면, 정부가 근로장려금 10만 원(수급자·차상위자는 3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신청은 온라인 ‘복지로’ 또는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며, 2025년 5월 1일부터 신청을 받습니다.
🔍 결론
2025년 청년 자산형성 정책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서, 미래 설계의 첫걸음을 함께하는 제도입니다.
정부의 매칭 지원과 세제 혜택을 바탕으로 소액이라도 차근차근 자산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죠.
자산을 키우고 싶은 청년이라면 지금 바로 본인에게 맞는 제도를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
작은 습관이 큰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주거안정장학금 총정리
대학 진학을 위해 타지로 떠난 학생이라면 ‘주거비’는 빼놓을 수 없는 고민 중 하나입니다. 특히 경제적 여건이 넉넉하지 않은 경우, 매달 나가는 월세나 관리비는 학업에 집중하는 데 큰 부
kyoungwebsite.com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자산기준 얼마일까?
🏠 “청년이라 혜택 많다는데… 자산 기준 때문에 안 될까봐 걱정돼요.”LH 청년 매입임대주택은취업 준비 중이거나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을 위한 임대주택 제도예요.시세의 30% 수준으로 저렴
kyoungwebsite.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냉매 부족 충전이 필요하다는 5가지 신호 (0) | 2025.04.23 |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조건 체크표 한눈에 확인 (0) | 2025.04.22 |
근로장려금 홈텍스 신청 순서 가이드(2025년 기준) (1) | 2025.04.18 |
청년 채용 정부가 도와 줍니다 (0) | 2025.04.11 |
복지멤버십 이런 분들게 꼭 필요해요 (0) | 2025.04.10 |